본문 바로가기
반응형

신호등2

우회전 통행 방법 도대체 어떻게 해야될까? 안녕하세요~ 오늘은 많은 운전자들이 헷갈려하고 잘못 알고 있는 경우가 많은 우회전 통행 방법에 대해 이야기 해보려고 합니다. [우회전을 도대체 어떻게 해야 할까?] 최근 우회전 통행 방법에 대해 개정되고 경찰청에서도 방법에 대해 발표를 했지만 계속 바뀌며 운전자들이 더 헷갈리는 상황이 생긴적이 있었습니다. 정확히 모르는 분들은 우회전 할 시에 멈추지 않고 가도 되는 상황인데도 멈추거나 보행자 신호가 빨간불로 바뀔 때 까지 계속 기다리시는 운전자분들도 계십니다. 경찰청의 홍보물을 기준으로 올바른 우회전 통행 방법에 대해 테스트를 한 결과, 정확히 인지하고 있는 운전자는 400명 중에 1명이었습니다. 대부분의 운전자들이 잘못된 방법으로 우회전을 하다 보니 혼란과 함께 서로 불편한 감정이 생기고 심한 경우에는.. 2024. 5. 2.
[운전초보를 위한]좌회전 감응신호와 비보호 좌회전의 차이점 [좌회전 감응신호와 비보호 좌회전의 차이점에 대해 아시나요~?] 우리나라 땅이 그리 넓은 편은 아니지만 대부분의 운전자들은 본인이 거주하고 있는 지역이 제일 익숙하고 타지역의 도로는 낮설고 신호체계에 대해 이해가 안되는 부분들도 있으실텐데요. 이번에는 좌회전 할 때에 볼 수 있는 감응신호에 대해 이야기를 해보겠습니다.  우리나라에서 좌회전 하는 방법은 원래 크게 두가지가 있습니다. 좌회전 신호시에 좌회전, 직진 신호시 비보호 좌회전. 이렇게 두가지의 방법이 있습니다. 하지만 요즘은 감응신호라는것이 있습니다. 큰 도로에서는 평소의 신호대로 운전을 하면 되지만 교통량이 많지 않은 구간에서는 대부분 비보호 좌회전입니다. 그러나 비보호 좌회전으로 인한 잦은 사고도 있고 초보운전자들이 알맞은 타이밍에 좌회.. 2024. 4. 16.
반응형